목록Programing (136)
공부중

이거 카테고리와 제목을 뭐라 지을까 하다가 여기에 그냥 적어본다.먼저 이 내용으로 글을 쓴 적이 있다.https://hannom.tistory.com/185 [project_PQ]-[Unity3D] 임의의 원 범위 안에서 스폰하기.일단 위의 스크린샷은 내가 멍청하게도 Collision충돌로 알아서 밀어내겠지 하고 안일한 생각을 가지다가 is Trigger를 체크한것을 잊어버려서 결국엔 겹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_- 실제 게임hannom.tistory.com 과거에 이 내용으로 글을 썻는데 어쩌다보니 문제가 있던 내용이었던걸 GPT와 대화하다가 깨닫게 되어서 적어보는 글이다.일단 지금은 언리얼을 다루고 있으므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언리얼로 출력 결과를 보자.저번 글을 통해서 저번 글에 적은 코드를 ..

https://dev.epicgames.com/community/learning/tutorials/8JL3/unreal-engine-random-selector-behavior-tree-custom-composite-node위 내용을 읽고 제가 이해 하도록 정리 하는 글이므로 원글을 바로 보실분은 위 링크로 바로 이동하시면 됩니다.언리얼 엔진의 BehaviorTree에서 Composites 에는 기본으로 아래와 같이 3개의 Selector가 있다.Selector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자손을 실행.자손중 하나가 성공하면 실행 중단.자손이 하나라도 성공하면 Selector도 성공자손이 모두 실패시 Selector도 실패 Sequence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자손을 실행자손중 하나가 실패하면 실행 중단자손이 ..

작업을 하다보면 역시 Editor에서 작업을 많이 하게 되는데 여기서 SeamlessTravel이 동작을 안하는 문제가 발생했다.ATestGameModeBase::ATestGameModeBase(const FObjectInitializer& ObjectInitializer) : Super(ObjectInitializer){ // .... bUseSeamlessTravel = true;} GameMode에 있는 bUseSeamlessTravel을 true로 해놓아도 에디터에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GPT와 열심히 씨름하다가 답을 못내놓는걸 보고 답답해서 결국 내부 코드를 한번 봤다.void AGameModeBase::ProcessServerTravel(const FString& URL, bool ..

pthread 동기화에 관하여 글을 적어보려고 한다.일단 동기화 내용 하나 없는 아래의 코드를 보자.#include #include int g_value = 0;void *ADD(void* data){ for (int i = 0; i 위의 코드는 2개의 스레드를 생성해서 ADD함수를 각각의 스레드가 돌아가는데기대하는 출력값은 100,000회의 2번이니까 200,000이 되어야 하겠지만... 매번 실행할때마다 값도 다르고 의도한 값인 200,000이 될때도 있겠지만 되지않는 경우도 있다. 왜 저러한 일이 발생하냐면 간단하게 적자면 동기화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이고좀 더 자세히 풀어보자면타임라인1번 스레드2번 스레드1값 읽기 ( 0 )waiting...2값 증가 ( 1 ) waiting...3waiting...

vcpkg install pthreads:x64-windows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vcpkg를 이용해 설치하면 된다.아마 vcpkg 기본 설치가 x86-windows이지만 VS2022의 기본 활성 솔루션 플랫폼은 x64이므로 뒤에 x64-windows를 붙혀주면 된다.패키지가 설치 되었으면 그냥 위 스크린샷처럼 사용하면 된다 빌드 성공한 모습. 물론 F12로 헤더 내용도 볼 수 있다.vcpkg를 설치(?)하는 방법은 이전글을 참고하자.https://hannom.tistory.com/243 vcpkg를 설치(?)하는 방법https://github.com/microsoft/vcpkg GitHub - microsoft/vcpkg: C++ Library Manager for Windows, Linux..

https://github.com/microsoft/vcpkg GitHub - microsoft/vcpkg: C++ Library Manager for Windows, Linux, and MacOSC++ Library Manager for Windows, Linux, and MacOS. Contribute to microsoft/vcpk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위의 github링크에서 clone이나 Download zip을 통해서 내려 받아 PowerShell이나 명령프롬프트에서 아래에 있는 bat파일을 실행하면 된다..\bootstrap-vcpkg.bat제데로 되었다면 해당 경로에 vcpkg.exe 가 생성되었을 것이다.이제..
이 제목을 뭐로 지을까 하다가 일단 이렇게 지어놓았다.이 글은 상속이란 무엇이고 다형성이란 무엇이다라는 설명이 아니고단순히 생성자 호출순서에 대한 내 실수를 다시 되짚고자 작성하는 글이므로상속에대한 개념, 그리고 다형성이라는 개념을 찾으려고 들어오신 분들은 뒤로가기를 추천드립니다. 문제가 되었던것은 어제 출력결과를 묻는 특정 문제를 보게 되었다.코드는 아래와 같다.#include class AA{public: AA() { std::cout AA의 자식으로 BB가 있고 main에 있는것처럼 생성 할 때 어떠한 출력 결과가 나올것인가. 이거 입사 시험에서 은근히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봐서 나는 그만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음.. 일단 virtual이 소멸자에 없네? 그러면 정답은 이거지 하고 너무 짧게..

요거 카테고리를 어디에 배치 해야 할까 하다가 단순히 언리얼엔진에서 작업한거라 언리얼로 분류 했다.물론 이를 참조해서 다른 엔진 그리고 다른언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글은 WAV파일을 읽어서 DownSampling 그리고 스테레오를 모노로 변경(Stereo To Mono)하는 내용을 구현한뒤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작성하는 글이다.과거 WAV파일 DownSampling, 그리고 스테레오를 모노로 변경(Stereo To Mono) 작업을 사내에서 사용한 경험을 토대로 다시 작성하여 나중에 잊어버리면 내가 다시 볼 목적으로 적어놓는 글이며 전문적인 프로그램과는 다른 결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자세하고 깊은 wav파일 지식은 작성하지 않으려고 한다.(더 좋은 내용의 글들이 다른곳에 더 많을것이므로...)여기 ..